Network
Part04. 네트워크 장비들에 관한 이야기
포꾼
2018. 6. 28. 14:57
허브에 연결된 모든 PC들은 하나의 콜리전 도메인에 있어 한PC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콜리전도메인이 발생(충돌) 할 경우 연결된 모든 PC에 영향을 받는다.
인텔리전트 허브 (Intelligent Hub)
더미 허브 (Dummy Hub)
사용 예시 ex) 두개의 장비간 거리가 150m 일 경우 UTP케이블로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UTP케이블은 최대 전송거리가 100m이므로, 두 장비 사이에 리피터를 두어 신호를 증폭 시키는 역할을 한다.
Learning : 배운다.
Flooding : 모르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다른 모든 포트에 뿌린다.
Forwarding : 해당 포트로 건네 준다.
Filtering : 다른 포트로는 못가게 막는다.
Aging : 나이를 먹는다
처리 방법 (스위치 : 하드웨어 | 브리지 : 소프트웨어)
포트별 속도 (스위치 : 포트 별 다른 속도 | 브리지 : 모두 같은 속도)
포트 수 : (스위치 : 많음 | 브리지 : 스위치에 비해 적음)
처리 방식 : (스위치 : cut-through, store-and-forward | 브리지 : store-and-forward)
:: 처리 속도가 빠르지만, 에러를 찾아내는 능력이 없어 에러 복구 능력에 단점을 가지고 있다.
루핑(Looping) : 네트워크의 끊임 없는 순환 (서비스 장애)

상위 pc가 하위pc와 통신을 위해 브로드캐스트를 날린다.
상위 pc에서 전달 받은 브리지A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니 Flooding 한다.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브리지B에 연결된 포트로 Flooding 한다.
예를들어 브리지B가 1번/2번포트로 연결되어있을 경우
1번 포트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받을 경우 2번 포트로 Flooding하고
2번 포트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받을 경우 1번 포트로 Flooding하게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브리지(스위치)끼리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뿌리면서 루핑 현상에 빠지게 된다.
막아 두었다가 기존 경로가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풀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알고리즘 (모든 스위치는 스패닝트리 알고리즘을 지원한다)
** 현재 링크에 문제가 있을 경우 다른 링크를 살리는데 1분정도 소요**
** 이더 채널 : 여러 개의 링크를 하나의 링크처럼 인식되게 하는 기술 **
:: 스위치의 한계
브로드캐스스트 영역을 나눠야 한다.
로드 분배